스페인 가이드:이안이아빠

바르셀로나 근교 여행 추천 : 타라고나 Tarragona 4편 (지중해의 발코니) 본문

투어펠리스(Tour Feliz):여행사/스페인 여행 & 맛집

바르셀로나 근교 여행 추천 : 타라고나 Tarragona 4편 (지중해의 발코니)

씨스코 2020. 7. 29. 05:34

1편: 바르셀로나에서 타라고까지의 왕복 교통편

2편: 타라고나의 로마유적지

3편: 타라고나 대성당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마유적지와 대성당 외의 타라고나를 

사진과 함께 둘러보겠습니다. 


#지중해의 발코니

지중해를 품은 타라고나

이사진은 로마유적 전망대에서 찍었습니다. 좌측 하단에 원형 경기장이 보이고 

우측 중앙의 큰 건물은 리모델링중인 H10 Imperio Tarraco 호텔입니다. 

저 호텔 너머에 전망대가 있고 거기를 소위 "지중해의 발코니" 라고 부릅니다. 

goo.gl/maps/1QA5fb5uMG3gSzqb9

 

지중해의 발코니

★★★★★ · 전망대 · Passeig de les Palmeres, s/n

www.google.com

 

 

타라고나 지중해의 발코니
타라고나 지중해의 발코니

발코니의 오른쪽은 타라고나 기차역이 10여분 거리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 너머는 부산항같은 산업항구가 있습니다. 

카탈루냐에서도 공업이 번성한 곳이라 항만 물류 이동이 많은 편입니다. 

사진속에 도 4대의 컨테이너선박이 보이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중해의 발코니 바로 밑으로 로마 원형 경기장이 있으며

타라고나에서 가장 번화한 신작로(?) 람블라 노바 Rambla Nova 길이 시작됩니다. 

 


#람블라 노바

타라고나 람블라 노바

람블라는 예전에 물길이 있던 자리를 뜻하지만 지금에는 그냥 거리 이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노바는 새로운 이란 뜻인건 여러분들도 아시죠?

새로운 람블라 라는 이름이고 이길 너머 구시가지를 지나는 거리는 람블라 베야 Rambla Vella(아름다운) 입니다. 

 

이 람블라 노바의 시작이 지중해의 발코니입니다. 여기서부터 왼쪽은 신시가지 오른쪽은 구시가지쪽입니다. 

꽤나 긴 거리에 각종 식당, 샵들이 모여있습니다. 

바르셀로나로 치면 그라시아 거리 정도 되는 격입니다. 

카페들과 식당들이 많으니 식사 해결하기에도 좋은 곳입니다. 

타라고나 기차역에서 도보로 10분이면 갈 수 있는 길이라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꼭 지나가게 될것입니다. 

바닥의 블럭들을 잘보면 나름 물결치는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르셀로나의 람블라스 거리에도 물결모양이 있는거 여러분들 아시나요?

 

 


#유네스코 광장

 

2000년부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걸 기념하는 비문이 있고

아래 붉은 꽃으로 만든 모형이 바로 유네스코 마크입니다. 

타라고나 유네스코 마크

위 사진속 붉은 꽃은 매년 바뀝니다. 상당히 신경을 쓰고있는 타라고나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성벽 뒤로 2편에서 봤던 로마 대 전차경기장의 유적이 있습니다. 

기둥 하단부는 로마때 성벽을 기반으로 중세 아라곤왕국의 카탈루냐 백작령이 축조한 성벽이 

구시가지를 감싸고 있습니다. 

 

지중해의 발코니에서 바라본 타라고나 성벽

사진 뒷편으로 임페리오 타라코 호텔이 있고 그 뒤로 지중해의 발코니가 있습니다. 

야자나무, 사이프러스나무 등등 뜨거운 태양을 먹고 무성하게 자라는 나무들 사이로

노란 블럭거리를 걸으면 바르셀로나에선 찾을 수 없는 여유와 분위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플라자 폰트, 시청

Plaza Font 

가운데 보이는 건물이 타라고나 시청입니다. 

시청앞 광장 정도 되겠습니다. 여긴 구시가지의 먹자광장입니다. 

다른 스페인의 광장들과 마찬가지로 광장을 꽉 채운 식당 바들로 

언제나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중에 하나입니다. 

Font 는 우물을 뜻하는 카탈루냐 어입니다. 예전에 우물이 있었던 곳이라 그런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타라고나 시청앞 광장

시청을 뒤로하고 본 모습인데 왼편 건물 뒷편에 대 전차경기장의 유적이 남아있습니다. 

지금 이 광장은 로마시대때 전차경기장의 바닥이였던 곳입니다. 

그리고 이 구시가지 전체가 타라고나 대도시의 중심지였습니다. 

 

 


#플라자 포룸

타라고나 플라자 포룸 Plaza Forum

주말이면 시장이 열리고 각종 쓰래기가 즐비한 이곳이 

로마시대때 행정의 중심지였다는게 믿기지 않습니다. 

지금은 그당시 건물터임을 알 수 있는 벽면하나와 바닥의 주춧돌등으로 그 규모를 알 수 있습니다. 

대성당에서 오른쪽으로 몇걸음만 가면 볼 수 있습니다. 

goo.gl/maps/c1jMV6Xrz3RR5PWs9

 

Plaça del Fòrum

43003 타라고나 스페인

www.google.com


#골목길

타라고나 구시가지의 중심거리 Mayor 거리

위 사진속의 거리가 타라고나에서 가장 유명한 골목 사진중 하나일것입니다. 

좁은 골목길 사이로 대성당의 얼굴이 살짝 보이는 그런 느낌??

먼가 확 보여주는게 아니라 조금씩 조금씩 보여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거리 양쪽에는 각종 기념품 가게 식당 들이 여행객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성당 거의 다와가서는 오른편에 타라고나 여행안내소가 있으니 지도한장 받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타라고나 골목길

왼쪽하단부에 철창은 로마 대전차 경기장의 관중석 부분입니다. 

그 관중석(왼쪽하단)너머가 위에서 본 시청앞 광장이고 오른편 건물 너머에 대성당이 있습니다. 

발길 닫는곳마다 로마시대의 돌들이 널려있는 곳이 타라고나입니다. 

 

거리리 곳곳의 분위기가 바르셀로나, 지로나와는 완전 다른 느낌을 다가오기에 

타라고나만의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간탑쌓기

타라고나 인간 탑쌓기 센터

타라고나에서 시작한 카탈루냐 전통행사 [castelles] 인간탑쌓기, 들어보신분 계실겁니다. 

다큐등에서 가끔 소개된적이 있는 이곳 카탈루냐만의 행사 그 탑쌓기를 준비하는 센터중 하나입니다. 

상단 마스코트를 보면 하얀바지에 보라빛 셔츠 그리고 땡땡이 두건을 쓴 사람이 보이는데 

이 색깔이 이 팀의 색깔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모두 같은옷을 입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탈루냐에서 열리는 큰 축제등에는 빠지지 않는 행사가 바로 인간탑쌓기 입니다. 

2년에 한번씩 짝수년도에 타라고나에서 대회가 열리기도 하고 각 지역으로 원정을 나가기도 합니다. 

남녀노소 모두가 참여해서 하나의 목표를 이루는 카탈루냐인들 특유의 단합과 협동을 잘 나타내는 그들만의 긍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의 긍지가 가끔은 배타적이고 편협한 모습으로 표현되는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결론

-바르셀로나에서 시간이 허락되면 다녀오세요. 

-로마에 안가도 로마를 볼 수 있습니다. 

-남들 안가본데 가보고 싶은분들 꼭가세요. 

  평소 주중엔 타라고나 시내가 늘 한산합니다. 한국여행객들 찾기 하늘에 별따기고 외국인 여행객들도 별로 없는 한산한 곳에서 

셀카 기가 막히게 찍히는 골목길들 산책하면서 갬성갬성 뿜뿜하고 싶은 분들은 강추!!

 

 

이상 이안이아빠 씨스코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타라고나 대성당 포스팅

 

바르셀로나 근교 여행 추천 : 타라고나 Tarragona 3편 (대성당)

바르셀로나에서 한시간 좀 넘게 떨어진 로마유적으로 유명한 도시 타라고나를 알아보겠습니다. 지난포스팅에서는 로마유적을 알아봤고 이번에는 대성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르셀로나 ��

sunsung77.tistory.com

#타라고나 로마유적 포스팅

 

바르셀로나 근교 여행 추천 : 타라고나 2편, 로마유적

오늘은 바르셀로나 근교여행 추천지 타라고나 Tarragona 소개 두번째입니다. 첫번째로 이동방법을 알려드렸고 두번째로는 로마유적지 편입니다. 기원전 218년 로마제국이 이베리아 반도에 들어와�

sunsung77.tistory.com

#타라고나 이동방법 포스팅

 

바르셀로나 근교 여행 추천 : 타라고나 1편 이동방법

안녕하세요~ 이안이아빠 씨스코입니다. 오늘은 바르셀로나 근교 추천 여행지중 하나인 타라고나 Tarragona 에 가는 법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라고나는 차로 가면 1시간 20분정도 기차로도 1시간

sunsung77.tistory.com

 

Comments